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
- 도커 #Docker #배포 #Spring #MySQL #백엔드배포
- chatgpt #gpt #챗지피티 #ai
- 도커 #docker #docker-compose.yml #도커컴포즈 #배포 #spring #mysql #docker-compose
- Today
- Total
목록코딩테스트 (4)
개발자 데뷔!
구현, 시뮬레이션 삽질한 부분 1. 전개도를 그렸을 때, 옆면, 뒷면 등의 상세 index를 모두 종이의 위-아래에 맞춰 [123,456,789]로 하려 했으나, 후에 각 면을 쳐다보았을 때의 위-아래를 기준으로 index배치를 바꿈. [147,258,369] 등으로 2. 큐빙을 cube[6][3][3] 으로 하려 했으나, 필요성을 못느껴 i) 6가지 면은, 각각 U[3][3], D[3][3], B[3][3], F[3][3], R[3][3], L[3][3] 인 2차원 배열로 바꾸고, ii) 각 2차원 배열의 필요성도 못느껴, U[10] 인 1차원 배열로 펴버렸다. 왜냐하면, tmp 할 때 매번 tmp[0] = U[2][1] 등으로 바꿔야 함. (복잡) 3. 나는 빡구현으로 했다. TIL 1. TC 별로 ..
구현, 시뮬레이션 삽질한 부분 1. init 함수 따로 없이 memset을 필요한 부분에 배치해 초기화 - move_cloud() 함수 : newCloud 배열 초기화 - create_cloud() 함수 : Cloud 배열 초기화 2. 이동방향은 미리 vector에 입력받아 저장하고, move_cloud()함수에 몇번째 입력을 사용할 것인지 함수파라미터로 받아야함 3. 범위밖의 방향 보정 -> 행,열의 시작-끝을 이음 (범위밖으로 벗어날시 index 0으로 다시 옮김) * (nr + N)%N으로 할시 오류발생 !! *** -로 할 시 나머지값 (index)가 오염됨 100은 명령횟수 M의 최댓값 기준 nr = (nr + N*100) % N; nc = (nc + N*100) % N; 4. 첫 구름위치 미리..
구현, 시뮬레이션, 그래프탐색, DFS, BFS 삽질한 부분 1. 주사위 이동함수 test 시, 시작 위치가 0,0이라 서쪽, 북쪽으로 이동할땐 방향이 반대로 바뀌어 나오는데, 이를 인지하지 못하고 주사위 roll함수를 잘못짠 것이라 생각해 계속 들여다봄 2. 시계, 반시계 방향 회전 편하도록 처음부터 direct 배열 순서대로 저장 3. 그래프 탐색 simulation 에, - break 문이 안들어감(level이 따로 안 정해져있어 break이 따로 없음) - path를 사용하지만, 수가 같은 모든 곳을 기록해야 하기 때문에 => 재귀호출 후 다시 해제하지 않고 모두 저장 - used를 사용하지만, 재귀 호출 후 나올때 다시 used를 해제 하진 않음 => 해제하면 왔던길 중복체크되어 추가로 더해짐 ..
구현, 시뮬레이션, 백트래킹 삽질한 부분 1. 물고기 배열은 [vector fish[4][4]]로, 2차원 배열 각각을 vector로 정의 하면, 여러마리 물고기의 방향을 한꺼번에 저장할 수 있다. (냄새는 따로 저장) (해당 칸의 물고기 수는, fish[i][j].size()로 접근) 2. '물고기의 냄새'가 흐려지는 시점을 잘 파악해야 한다! (상어가 물고기 죽인 후) 3. 이미 방문했던 used칸을, 다시 방문하는 경우가 상어의 최적경로 일 수 있다! 4. 상어가 방문한 모든칸 (X), 방문한 칸 중 물고기 있던 칸 (O) 에만 냄새가 남는다.(if문 사용) 5. 물고기가 모든 방향(8가지)를 탐색하고도 갈곳이 없는경우, 그자리에 가만히 있는다.(new_fish에 추가) TIL 1. 속도 개선 방법..